반응형
728x90
데일 카네기는 1888년도에 태어나서 강연자로서, 저자로서 세계에 영향을 미친 인물이다.그의 저서는 인간관계론과 자기관리론이 양대 산맥이다. 자기 관리론은 정말 오래된 책이지만, 이것이 오늘날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면, 이 책은 어떤 자기 관리의 우주적은 원리를 담은 것이 아닌가 생각을 한다.뉴턴이 중력의 법칙을 발견했듯이, 카네기는 자기 관리를 어떻게 할 것인가를 통찰하고 법칙으로 세운 자가 아닌가 생각을 한다. 자기 관리론은 10가지 주제로 요약을 할 수가 있다. 1. 자기 이해 자기 개발의 첫 단계는 자신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한 직장인이 자신의 업무에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다고 가정해봅시다. 이 직장인은 먼저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해야 합니다. 강점으로는 높은 분석력과 문제 ..
질문...정말 중요한 단어이다. 이 사회가 발전할 수 있는 무기가 바로 질문이었다.인간은 질문을 하고, 대답하는 과정 속에서 자신을 발견하고, 과학을 발전시켰으며, 더욱 아름다운 사회를 만들어 가는 과정의 연속이지 않을까. 그런데, 과연 우리는 질문을 잘 하는가?질문을 어떻게 하는가?여기에 대한 대답을 잘 하지 못할 것이다.왜냐하면, 여기에 대해서 깊게 생각해 보지 않았기 때문이다. 저자인 이시한은 이 책을 통해서 이 문제를 깊이 파고 들었으며, 아주 명쾌한 해답들을 제시해주고 있다. 그는 오늘날의 시대를 이 한마디로 정의를 내렸다. "질문의 시대" 코로나 이후로 우리는 지식과 지식을 연결하는 인사이트라는 선을 대신 그어주는 생성형 AI들을 만나게 되는데, 질문만 잘하면 답을 아주 빠르게 얻을 수 ..
이 책은 겸손에 관한 책이다.뇔케는 겸손이 얼마나 인생에서 중요한지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잘 들고 있다. 책 제목에서 보듯이 나를 소모하지 않는 현명한 태도는 바로 겸손이다.왜 나를 소모하지 않는 것이 중요한가?사람들은 정말 중요한 곳에 쏟어야 할 에너지를 다른 곳에 다 소비해 버린다.그리고는 너덜너덜한 인생이 되어 버린다. 왜 그런가? 정말로 소비해야 할 부분에 소비를 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자신이 실제로는 속이 텅비었음에도 자신의 나약함을 보여주기 위해서 비싼 자동차를 사거나 명품을 들고 다니는 경우이다. 그러면, 사람들이 자신을 우러러 보고, 그것을 즐기는 부류들이다.비싼 자동차 할부를 갚느라 실제의 삶에는 먹고 싶은 거 못 먹고, 친구에게 밥 한끼 살 수도 없는 비참한 생활을 한다.부..
오늘날 사람들이 점점 더 외로워지고 있다. 아마 대가족시대의 붕괴 후에 핵가족 시대를 지나 일인가구 시대가 되었다고 생각이 된다. 노리나 허츠는 이러한 시대의 모습을 "외로움"이라는 주제로 글을 쓰고 있다. 21세기 문명의 이기가 사람들을 너무나 편하게 하지만, 사람들은 점점 외로워지고 있다는 것이다. 오늘날에도 고독사의 이야기가 우리 사회에 종종 들려온다. 결혼한 부부들도 자녀들도 한 명 밖에 낳지 않거나 아예 낳지를 않는 시대가 왔다. 우리 나라 출생율에 심각한 위기가 왔다. 그래서 사람들이 점점 더 외로워지는 것 같다. 저자의 이야기 중에서 좀 새로운 것은 외로움이 면역체계의 이상을 가져온다는 것이다. 외로움이 염증을 유발시키고, 백혈구 수치를 증가시켜서 사람을 파괴한다는 것이다. "만성적으로 외로..
사람은 끊임없이 생각을 한다. 생각을 한 순간도 멈출 수가 없다. 오직 잠을 잘 때만 의식이 멈추기에 그 때에야 비로소 생각이 멈추게 될 것이다. 그러나 잠을 자면서도 사람은 꿈을 꾸면서, 어떤 생각 속에 들어가 있을지도 모른다. 꿈에서 깨면, 무슨 꿈을 꾸기는 했지만 그것이 기억이 나지 않기에 의식을 못한다고 생각할 뿐이다. 어째든 사람은 어마어마하게 많은 생각을 하는데, 그 생각 중에는 나를 힘들게 하는 생각이 있다는 것이다. 이를 저자인 닉 트렌튼은 생각 중독이라고 부르고 있다. 사람은 생각을 통해서 자신을 발전시켜 나가며, 자신을 성찰하고, 자신에게 주어진 사명을 성취해 나간다. 생각이 없다면, 사람은 짐승과 같을 것이다. 그런데, 너무나 많은 생각은 오히려 사람에게 독이 된다. 잠을 이루지 못할..
아주 기초적은 돈에 대한 이야기를 어렵게 쓴 책이라고 생각이 된다. 오늘날 사용하는 화폐가 왜 생겼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장황하게 늘어놓고 있다. 그리고 오늘날 사용하는 화폐 중에서 가장 의뜸은 금이라는 사실을 이야기 하고 있다. 그는 농업을 가장 기본적인 생산 단위라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농사야 말로 사람이 먹고 사는 기초이기 때문이다. 농사를 통한 농작물은 사람에게 에너지를 준다. 에너지의 반대 현상이 엔트로피이다. 엔트로피는 에너지의 소실을 이야기하는 것이다. 음식을 통해서 사람은 소실되는 에너지를 충전해야 살 수가 있다. 에너지와 엔트로피는 지구상의 모든 생물에게 적용이 된다. 그리고 에너지를 생산하는 농업이 과잉 생산이 되면, 다른 분야가 개발이 된다는 것이다. 그것이 서비스업이다. 그래서 에너..